728x90 반응형 재테크43 리모델링 사업(2) - 1기 신도시에 대한 관심 확대 안녕하세요 김대리입니다 :) 지난 포스팅에서는 안양 평촌의 아파트를 매입한 이유와 리모델링 사업에 대해 설명했었는데요, 이번 정부가 들어오면서 1기 신도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1기 신도시 특별법'까지 제정하려 하는 등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1990년대부터 입주가 시작된 5개의 1기 신도시는 이제 30년의 시간이 지났기 때문에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이나 재건축 사업 등의 정비가 필요할 것입니다. 이번 정부는 지난 2월 1기 신도시 특별법으로 알려진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의 주요내용을 아래 링크와 같이 발표하였습니다.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51110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 2023. 6. 28. 리모델링 사업(1) - 에필로그 안녕하세요 김대리입니다 :) 부동산 경기가 미쳐(?) 돌아가던 2021년, FOMO를 이기지 못하고 아파트를 매수하였습니다. 당시에는 최선의 선택이라고 생각했지만, 지금 돌아보니 조금 더 객관적으로 상황을 돌아볼 필요가 있었네요. 저는 최고점에 매입하진 않았지만, 당시 제가 매입했던 가격으로 보면 2023년 초 더 좋은 조건의 아파트를 매매 할 수도 있었겠지만, 쉽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제가 매수했던 시기보다 기준금리가 너무 많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나중에 보금자리론에 대한 포스팅도 자세히 해보겠습니다._) 어쨌든, 저는 2021년 말 경기도 안양의 평촌신도시에 있는 작은 아파트를 마련하였습니다. 이 아파트를 선택했던 가장 큰 이유는 1. 서울과의 접근성(사당역과 지하철로 30분) 2. 지하철(4호.. 2023. 6. 26. 애플 전영업일 대비 4.69% 상승! 안녕하세요 김대리입니다 :) 저는 애플의 굉장한 팬..인데요. 아이폰, 아이패드, 애플워치까지 최신형은 아니지만 애플의 생태계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당연히 애플 주식에도 관심이 갈 수 밖에 없었는데요, 2019년부터 애플 주식을 꾸준히 모아오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그럼 제가 애플을 투자하게 된 이유를 설명드려보려 합니다. 1. 벗어날 수 없는 충성심(Royalty) 애플 제품에 대한 고객들의 로열티는 굉장한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 100명중 95명 이상은 애플제품을 다시 쓰고, 그 생태계를 벗어나는 것을 생각하기 어렵다고 말할 것 같습니다. 가끔 소니(SONY)나 모토로라, 노키아를 비교하는 사람들이 많은데요, 애플 제품은 그 생태계를 구성하고 모든 제품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 2023. 5. 8. 높아지는 금리, 최고 적금 상품은? 안녕하세요 김대리입니다 :) 고금리 시대에 좋은 적금 이율을 소개하는 신문기사가 있어 스크랩해보려 합니다. 관련 포스팅은 차후 제대로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www.fntimes.com/html/view.php?ud=2023050416432654680d260cda75_18 [5월 1주] 저축은행 정기적금(24개월) 최고 연 5.3%…웰컴저축은행 상품 주목 5월 1주 24개월 기준 저축은행 정기적금 최고우대금리는 5.3%를 기록했다. 7일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통합비교 공시사이트 ‘금융상품 한눈에’에 따르면 웰컴저축은행의 ‘WELCOME 체크플러스2 e정 www.fntimes.com 2023. 5. 7. 미국 기준금리 5.25%, 이대로 괜찮을까? 안녕하세요 김대리입니다! 결국 미국 기준금리가 25bp 오른 5.25%로 5월 4일 발표되었습니다. 우리나라 기준금리인 3.25%와 1.75%p로 역대 최대 차이로 벌어지게 되었기 때문에 이에 따른 문제점도 예상됩니다. 기축통화인 미국달러 시장에 돈을 맡기면 최소 5.25%의 금리로 이자를 주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불안한 원화를 보유한 외국인들이 원화를 내다팔고 달러에 투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시장은 미국이 이번 25bp 인상을 마지막으로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을 마무리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과 미국의 최대 기준금리 차이에도 불구하고 시장이 마지막 기준금리 인상일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되면서 자금 유출이 둔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소폭 낮아진.. 2023. 5. 6. 재무제표(2) - 손익계산서의 구조 안녕하세요 김대리입니다 :) 손익계산서에 대해 공부해본 적이 있나요? 손익계산서는 일정기간 회사의 영업성과를 보여주는 표입니다. 일반 회사에서 영업을 하게 된다면, 매출도 중요하지만 실질적으로 회사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손익으로 평가합니다. 아무리 매출을 많이하더라도 손실이 있다면 의미 없는 영업활동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손익계산서는 어떻게 생겼을까요? 회계에서는 '수익'과 '이익'을 구분합니다. '영업수익'이라는 표현은 회사가 판매한 '매출액'을 의미하고, '영업이익'이라고 하면 영업수익에서 영업비용을 차감한 금액을 말합니다. 즉, 위의 표에서 영업이익 E = A(매출액) - B(매출원가) - D(판관비)를 의미합니다. 손익계산서는 이렇게 수익과 비용, 그리고 수익에서 비용을 차감한 이익 간의 관계.. 2023. 4. 26. 재무제표(2) - 전자공시 보는 방법 안녕하세요 김대리입니다. :) 가치투자를 하는 투자자라면 본인이 투자한 회사의 각종 공시들과 사업보고서 등을 통해 회사의 실적이나 배당에 대한 사항은 꼼꼼히 분석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도 단순히 매수만 하고 공시는 잘 보지 않는 습관을 갖기 때문에, 오늘은 전자공시를 보는 방법과 어떤 공시를 주목해서 보아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법령에 따라 공시를 해야 하는 회사의 기준 우리나라의 법 중에 '주식회사 등의 외부 감사에 관한 법률'(약칭; 외무감사법)으로 불리는 법률이 있습니다. 이 법에 따르면, 일정 기준에 해당하는 주식회사나 유한회사는 외부의 공인회계사에게 감사를 받고 그 결과를 공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공시를 반드시 해야하는 4가지 조건(첫째, 자산총액 120억 원 이상이거나 둘.. 2023. 4. 17. 주식이 오르면 회사엔 어떤 영향이 있을까? 안녕하세요 김대리입니다. :) 주식투자를 하는 모든 투자자들은 회사의 주식이 올라서 시세차익을 보기를 원합니다. 낮은 단가에 매수하여 주가가 올랐을 때 매도하여 그 시세차익만큼 돈을 벌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개인과 법인은 그렇다고 하더라도, 주식이 오르면 회사에는 어떤 장점이 있을지 생각해 본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시세차익은 주식시장이 가지고 있는 수많은 특징중의 단 하나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주식의 상승이 기업에게는 장점만 있을지, 아니면 한국 주식시장의 특성상 단점도 있을지 한번 조사해보았습니다. 주가상승이 회사에 미치는 영향 A기업의 주가가 오르면 A기업에는 어떤 영향이 생길지 고민해본 적이 있으신가요? 단순히 회사의 가치가 오르는 것 외에도 주가 상승은 그 회사에 다양한 영향을 끼치.. 2023. 4. 16. 자사주 매입과 소각이 무조건 호재일까? 안녕하세요 김대리입니다. :) 기업이 주가를 부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실적과 이익 상승시켜 회사의 미래를 보고기업은 매수세가 들어와 주가를 부양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은 발행한 주식을 소각시킴으로써 주당 가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자사주 매입과 소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사주(자기주식)란? 자기주식이란 회사가 자기 재산으로 발행한 주식을 취득해 보유하고 있는 주식입니다. 즉, 자기 돈으로 자기 주식을 취득하는 것으로써 시장에 유통되는 주식이 감소되어 주당순이익(EPS)이 상승하여 주가 상승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일시적 호재로 시장에서는 여겨집니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자사주매입과 소각을 주가 부양의 의지로 생각하고 회사에 자금이 충분히 있기 때문에 자.. 2023. 4. 15. 재무제표(1) - 자산은 자본과 부채의 합 안녕하세요 김대리입니다. :) 회사를 다니다보면, 특히 저처럼 영업을 하는 사람이라면 숫자를 읽는데 어려움이 없어야 한다고 배웠습니다. 특히 환율이나 숫자 단위는 한번에 눈에 들어올 정도로 수차례 봐서 익숙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회사를 다니면서 주식투자나 투자 공부를 하는 사람이라면, 기본적인 재무제표는 읽을 줄 알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차트를 보고 차트의 움직임을 읽는 기술적 분석도 있지만, 회사가 매 분기마다 공시하는 재무제표를 통해 회사의 안정성이나 수익 구조등을 파악하여 회사가 투자하기 적정한지 알아보는 것도 좋은 투자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총 3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 가장 먼저 등장하는 재무상태표의 구조부터 먼저 공부해보려고 합니.. 2023. 4. 14.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