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김대리입니다 :)
과거 포스팅에서 노후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준비인 국민연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국민연금은 국내에 거주하는 60세 미만의 전국민을 대상으로 합니다.(단, 공무원연금법 / 군인연금법 / 사립학교교직원연금법의 적용 대상자와 저소득계층등은 예외) 더 정확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국민연금 -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기본적인 대비
안녕하세요! 부자가 되고 싶고 재테크에 너무나도 관심이 많은 김대리입니다. 20일 정도 만에 거의 30개에 가까운 포스팅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몇 개 없는 통계에 따르면 저의 포스팅 중에서도
kimtips.tistory.com
직장에 다니는 근로소득자라면 국민연금은 패시브로 가입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별도로 공부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최근 국민연금의 기금 고갈문제로 지금까지 소득의 4.5%를 납부(회사에서 4.5%를 납부하여 총 9%)하였지만, 소득대비 납부비율을 높이려는 국민연금개혁안이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국민연금은 우리의 노후를 가장 기본적으로 보장해주기 때문에, 국민연금만으로 노후를 준비하기는 매우 부족한 현실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국민연금 외에 개인연금을 별도로 가입하여 노후를 준비해야 합니다.
개인연금(노후를 위한 구체적인 준비)
국민연금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노후를 준비하기 위해 개인연금저축의 준비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습니다. 특히, 사회생활을 처음 시작하는 회사원이라면 개인연금을 하루빨리 준비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국민연금은 노후 준비 외에도 많은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에서는 국민연금만으로 부족한 노후준비를 국민에게 장려하기 위해서 개인연금 가입자에게 많은 특혜를 주고 있습니다.
① 세액공제혜택(13.2% - 16.5%)
개인연금저축 가입 시 최대 900만원 한도(2023년 개정) 내에서 세액공제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식투자를 해보면 연 13.2% - 16.5%의 수익을 내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혜택을 통해 매년 2월 소득공제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② 과세이연효과
개인연금펀드를 증권사를 통해 ETF종목을 매수하여 운용한다면, 분배금(배당금)이나 매도차익에 대한 세금 16.5%를 납부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를 과세이연효과라고 하는데, 향후 연금수령시 연령에 따라 3.3% - 5.5%의 세금을 납부하면 됩니다. 이러한 효과로 분배금과 매도차익금을 고스란히 추가 매수할 수 있습니다.
③ 복리효과
주식과 마찬가지로 개인연금펀드를 증권사를 통해 운용한다면 주요 ETF종목을 매수하면서 snowball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저는 매달 정해진 금액을 기계적으로 매수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국민연금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노후준비는 개인연금으로 반드시 준비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세액공제 / 과세이연의 혜택이 있는 만큼 어릴 때부터 준비하여 불투명한 노후를 모두 준비할 수 있는 계기가 되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재테크 > 연금투자, 채권, 주식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사주 매입과 소각이 무조건 호재일까? (0) | 2023.04.15 |
---|---|
증자 -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0) | 2023.04.10 |
주식시장 사이클 - 미스터마켓? (0) | 2023.04.06 |
국민연금 -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기본적인 대비 (0) | 2023.04.05 |
파생상품 - 선물(futures)거래에 대해 (0) | 2023.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