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부자가 되고싶어 재테크에 관심이 많은 김대리입니다.
최근 주가흐름이 생각보다 좋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의 상승에 더불어 국내에서도 지난 2월 생산/소비/투자가 모두 늘어나는 '트리플증가'를 기록했다는 뉴스도 보았습니다. 주요 은행주들의 등락이 있었지만 연준의 시장에 대한 안정 발언과 금리 인상의 끝이 온다는 기대감 등으로 미국 빅테크기업을 중심으로 상승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금리 인상의 완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해 빅테크 주식들의 랠리가 며칠 간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금리와 주가는 무슨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금리와 주가의 관계
간단히 말씀드려서 금리와 주가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생각해보면, 금리가 높다면(또는 앞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면), 거대 자금을 움직이는 기관들은 리스크가 큰 주식투자보다는 안전한 예금이나 높은 금리를 제공해주는 채권 시장으로 자금을 이동시킬 것입니다. 특히, 미래 성장을 기대하는 기술주, 성장주, 빅테크같은 기업들에 투자한 돈들이 빠져나가서 안전한 시장에 자금이 투입될 것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금리가 낮거나(또는 앞으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면), 공격적인 투자가 기대됩니다. 코로나 19가 유행했던 2020년 - 2021년말에는 모든 국가들이 낮은 금리정책과 시장에 유동성을 확대하여 소비와 투자를 장려하였습니다. 얼어붙은 시장에 투자와 소비를 확대시키기 위한 가장 완벽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양적완화라고 하는데, 중앙은행이 시중에 자금을 직접 공급하여 경기를 부양하고 자국의 통화가치를 하락시켜 수출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주목적입니다.
금리는 돈의 값입니다. 금리가 낮다면 현금의 가치가 그만큼 낮아지고, 금리가 높으면 현금의 가치가 높은 것입니다. 따라서, 사람들은 금리가 낮을 때 현금의 가치가 낮기 때문에 현금을 보유하는 것보다 현금을 투자하기를 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가와 부동산 시장이 낮은 금리에서 랠리를 보이는 것입니다.
저금리 기조와 양적완화정책, 그리고 공매도 철폐를 통해 코스피는 단기 3300까지 상승하는 랠리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과도하게 상승한 주가는 다시 미국의 금리 인상정책과 긴축 정책, 공매도 재개등을 통해 2200까지 내려왔고 현재는 2300 - 2400의 박스권으로 다시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5월 미국 기준금리 발표를 통해 향후 지수의 움직임또한 어렴풋이 예상할 수 있습니다. 투자의 대가들은 이런 거시경제보다는 개별 회사의 재무제표와 성장성을 파악하라고 했기 때문에, 저 역시 개별 회사 공부를 더 많이 해야합니다. 다만 저도 연금저축등에는 지수연동 etf를 투자하고 있기 때문에, 금리에 대한 관심도 지속해야 할 것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17/0000909025?sid=101
"이제 한 번 남았다"… 美 기준금리 5월 정점
韓 금리 동결 지속 전망에 한·미 금리차 역대 최대로 벌어진다 전례 없는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면서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등 금융시스템 불안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
n.news.naver.com
다음 포스팅에는 환율과 주가의 관계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재테크 > 연금투자, 채권, 주식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시경제 - 환율과 주가와의 관계(2) (0) | 2023.04.03 |
---|---|
거시경제 - 환율과 주가와의 관계 (0) | 2023.04.03 |
보통주와 우선주(3) - 괴리율의 의미 (0) | 2023.03.31 |
보통주와 우선주(2) - 현대차 우선주들에 대한 비교 (0) | 2023.03.30 |
보통주와 우선주 - 현대차3우B를 보며 (0) | 2023.03.28 |
댓글